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등학교 사회연계의 독후활동 가계도에서 보는 마을 수~

촌수는 무엇일까요 촌수는 친척끼리 얼마나 가까운지 알기 위해 만든 것으로 촌수는 원래 '손의 마디'라는 뜻으로 촌수가 낮을수록 가까운 친척을 말합니다.

친척 관계를 숫자로 나타내는 것은 한국 고유의 제도입니다.

촌수는 고려시대에 처음 사용되었다!조선시대에 와서야 비로소 널리 퍼지게 된 거죠.

오늘은 영리한 사탐 흥부와 기러기 오빠의 책을 읽어!가정의 변화, 초등사회와의 연계 독후 활동하였습니다~

요일별로 책을 읽고 오늘은 초등학교 사회책을 읽는다!

오늘은 흥부와 기러기 오빠의 책을 골랐네요.

 

 

 

초등학교 3학년때부터 사회과목을 처음 배웁니다!

우리 아이들은 영리한 사회탐구들을 정독하고! 항상 연계학습으로 독서활동도 같이 하려고 노력해요.

책을읽고그대로덮는것이아니라,배운개념지식을자기것으로만드는것이중요합니다.~~

제목부터가 재미있다는 아이~ 생활문화를 주제로 옛날과 현대 가정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책입니다.
가정은 인류의 가장 기본적이고 소중한 사회집단입니다.가정이 건강해야 사회도 건강합니다.

최근에는 가정이 점차 붕괴되는 안타까운 소식을 자주 들었기 때문에 가정의 소중함을 알리는 계기가 되는 사회도서를 직접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작년에 읽은 책이지만, 아이가 학년이 올라가도 다시 읽을 때!

감정적 지식이 또 다른 것 같아요

이혼하는 사람도 많고, 부모를 돌보지 않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그러나 입양 가정이 늘면서 독거노인을 친부모처럼 돌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린이가 이 책을 읽고 가장 본래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니 미래 가정의 모습은 어떻게 달라질까. 상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옛날에 아이를 많이 낳았던 이유!옛날 집안모습도 보고~ 현대가정 기러기 아빠의 의미도 배우고!현대 가정에서의 부부 역할 남성 주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확장된 지식을 통해 아이에 대한 애정이 넘치는 아버지의 동물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옛날 가정이든 지금 가정이든 변함없는 가정의 의미가 있는 거죠^^

초등학교 사회연계 도서를 읽고 가정에 대해 많은 지식을 배우고 올바른 생각도 키워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특히 권말교과련 휴대자료가 풍부한 똑똑한 사회탐구!

오늘도 가계도에서 보는 촌지자료를 꼼꼼히 보면서 독서활동을 했어요~

외삼촌, 이모, 이모, 이모, 이모, 이모 생각하면서 친척언니, 동생들의 촌수는 어떻게 될까?

적극적으로 알아보았어요~^^

 

알아두면 좋은 상식이기도 한 가계도 꽤!똑똑한 사회탐구 덕분에 알찬 독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초등사회연계도서 다양한 지식을 배워 좋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