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족관계 호칭이 맞다" 가족 관계의 호칭

●가족관계의 호칭을 올바르게 알고 부를 것

결혼 전에는 저희 가족만 부르니까 호칭도 많지 않아서 잘 몰랐는데 결혼 후 배우자의 가족까지 생겨서 관계에 따라 호칭이 다르더라고요

 

잘못하면 실례가 되기도 하고 궁금해서 알아보기도 했습니다.

저처럼 가족관계나 촌수를 알고 싶으신 분들은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먼저 친등수를 알아보기 전에 가족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아래표를잘보면저는기준으로촌을세어부르는가족관계라는호칭이있습니다.

저희 할머니의 경우 증손자까지 보시고 사촌 조카도 (즉 저와 5촌) 증조할머니를 보았지만 저는 아쉽게도 증조할머니를 보지 못했습니다!

모든 부모는 나를 기준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이미지 출처 네이바 지식백과

부부는 무촌이라는 말을 들으셨어요?부모님은 무촌으로 나누지 말고 한마을 수로 계산하세요.

먼저, 남편의 가족관계하에서 ( )는 남편과의 친등감입니다.장인 - 아버지 - 아버지 - 어머니 (1촌) 남편의 형 - 이모 (의숙2촌) 시동생 - 도련님 시동생 - 아가씨(처제2촌) 시누이 - 형(처제) 남편의 남편 - 형(동서) 남편의 남편 - 아주머니(처남) 남편의 아내 - 남편(처부)

재미있는 것은 남편의 동생도 남편의 남편도 모두 남편이라고 불린다는 것입니다.

시집갈 때는 시아버지와 동생을 합쳐서 다른 사람에게 간접적으로 말할 때는 시어머니라고 하지만 직접 부를 때는 '도련님, 도련님' 이렇게 부르거든요.

도련님은 결혼 전에 부르고 도련님은 결혼 후 시동생을 부를 때 사용하면 좋다고 합니다.

친정쪽 가족관계 호칭 정리 <남편이 알아야 할 호칭들> 아내의 기준으로 촌수 계산장인 - 아버지(1촌) 장모 - 어머니(1촌) 처의 언니 - 처형(2촌) 처의 언니의 남편 - 형(연상) 동서(연하) 처의 오빠 - 처형(2촌) 처의 언니(부) - 처의 오빠(부) - 처의 남편 - 형(연상) 동서(연하) 처의 오빠나이가들면모두동서~뭐그렇게불리고,부르는데잘못알고있는사람들도생각보다많네요.
어쨌든 '아주머니'라는 말이 오빠 부인을 부르는 말이라니 어른을 부르는 호칭 중 하나였죠.

사실 요즘은 가족이 너무 소규모이기 때문에 많은 가족이 모이지 않는 이상 이상의 호칭은 필요없는 것 같습니다.우선 기본적인 호칭부터 알아 두고, 또 다른 호칭도 알아 두면 좋아요.

저를 기준으로 가족 관계의 호칭 존칭도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내 아버지: 아버지 내 어머니: 어머니 형: 큰아버지 큰아버지 형의 아내: 큰어머니 큰아버지 동생: 큰아버지 작은아버지의 동생 아내: 큰어머니 큰어머니 여동생: 큰아버지

외삼촌 : 외삼촌 : 외삼촌 : 외삼촌

외가는 생각보다 호칭이 단순해요!

호칭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예의범절이 아닐까요? 평소에 친척들을 만나면 좀 더 친하게 지내려고 합니다.

옛날 할머니 얘기가 생각나요.인사를 하면 복이 온다는 근거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만큼 예의를 갖추어 주신 것 같습니다.

다시 보고 싶어지는 우리 할머니...

가족분 호칭을 참고하셔서 보시고 도와주세요^^